사회복지학/정신건강론

정신건강론/ 건강의 의미/ 정신건강의 조건

키네시아 2020. 11. 10. 00:00
반응형

건강의 의미
- 신체적 건강와 정신적 건강을 모두 포함
- 참다움 정신건강에 대한 지식을 이해하고 자신의 건전한 정신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인식을 갖추고 있어야 함
- 정신적 장애의 원인은 신체적 질병에 있고, 신체적 질병원의 원인인 정신적 장애에 있기 때문임
- 개인의 건강은 그 자신의 생활 모든 영역에서 자신이 어떤 기능을 하고 있는가를 종합적으로 평가해야 함

 

건강한 정신에 대한 정의를 한마디로 정의하기 어렵다. 미국 교육협회의 보고에는 "정신건강이란 스스로 만족과 성공, 그리고 능률감을 가지고 행복한 생활을 할 수 있는가를 의미한다"고 하였고, 킬랜더는 "정신건강이란 사람이 환경을 바람직하게 조성하고 잘 적응하며 만족과 성공과 능률과 행복을 누릴 수 있는 능력"이라고 보았음. 정신건강의 여러 정의를 요약하면 정신이 건강한 사람은 자신이 처한 환경에 잘 적응하고 관계된 사람들과 잘 지내며 위기가 닥쳤을 때 자신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여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사람이라고 봄.

정신건강의 조건
- 인지와 사고의 측면, 사회문화적 측면, 뇌기능의 측면, 그리고 건강상태/ 웰빙/ 삶의 질/ 웰니즈의 측면
- 심신이원론은 정신적 장애와 신체적 질병은 독립된 두 개의 문제로 간주하는 것
- 개인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신체와 정신을 하나의 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하였는데, 이것은 곧 심신일원론이며 총체적 건강운동으로 볼 수 있음.

 

정신건강에 대한 여러 의견 가운데 프로이트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사랑을 할 수 있고 일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균형 잡힌 건강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라고 평가, 에릭슨은 정신건강의 척도를 인간발달의 조직화된 체계속에서 통합된 부분으로 간주하여 단계별로 설명, 매슬로우는 정신적으로 건강한 것이 기본적인 욕구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하고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사람이 건전한 성격으로 봄. 로저스는 건전한 성격을 가진 사람들은 자기 수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기지도가 가능한 사람들이라고 여겼다. 캐롤은 정신적으로 건전하다는 것은 개인적 혹은 사회적인 환경과 관련이 있다고 지적함.

 

건강한 정신적 발달을 이루는 데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은 가정, 또래, 학교, 매체를 들 수 있고, 가정에서는 아동이 부모와 형제자매와 형성한 애정적 유대와 일생 동안 영향을 미침. 또래와의 상호작용으로 아동은 타인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게 됨. 그리고 학교의 물리적 환경, 교사와 아동의 상호작용은 아동의 정신건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현대사회에서 TV와 컴퓨터 등 매체화의 상호작용은 아동 정신건강 발달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음.

매체 폭력의 영향
자기가 실제로 공격행동을 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싸우는 것을 보았을 때,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TV나 영화관 등 미디어를 통해 폭력영화를 관람했을 때)

- 정화이론
폭력을 관람하면 정화효과가 나타나 공격충동이 해소되므로 관중들의 공격행동이 줄어들 것으로 봄. 아리스토텔레스, 프로이트의 주장으로 페시바흐(Feshbach, 1955) 학자들이 지지하는 이론.
- 사회학습이론
폭력영화의 관람으로 인해 공격행동이 사회적으로 허용되고 있다는 생각을 하기 되고, 또 공격행동 자체와 공격방법에 대한 모방이 일어날 탈억제효과가 나타남으로써 관중의 공격행동이 더 늘어날 것으로 봄

 

삶을 질과 건강상태와는 병행하다.
- 일반적으로 삶의 질과 건강상태와는 병행하며 질병이나 신체적 기능장애는 일상생활에 직접적 영향을 준다.

웰빙(Well-being)은 개인의 사회적 지위, 정서의 균형상태, 환경적 특성, 행복감, 그리고 사회적 삶의 질을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다.

- 긍정적 정서를 가진 사람을 사회접촉이 활발하고 건강상태가 양호하지만 부정적 정서를 가진 사람은 불안이 심하고 신체적 건강해 병적으로 주의를 기울이는 경향이 있으며, 건강상태는 매우 좋지 않다.

 

정신건강이란 자기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고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가지고 독립적, 건설적, 자주적으로 자기의 생활을 처리해나가는 능력으로 이를 위해선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측면의 조화가 바탕이 되어야 한다.
-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건강은 단순히 질병이나 취약성이 결여된 상태가 아니고 건전한 신체적, 정신적 상태이며, 사회적 복지를 누리는 상태이다"라고 총괄적인 입장에서 건강의 개념을 정의하고 있다.

 

신체적 기관의 장애로 특정한 증후나 증표가 뚜렷하게 나타날 때 질병이라고 진단하고, 이를 생물의학적 모델 또는 질병모델이라고 한다.

총체적 건강운동이란 질병이 신체적 요인과 정신적 요인의 상호작용에 의한 산물이라는 심신일원론에 기초하고 있다.
- 개인의 질병 치료를 위해서는 그들의 신체와 정신을 하나의 치료대상으로 삼아야 한다는 주장이 등장하게 되었는데, 이를 총체적 건강운동이라고 함. 왜냐하면 정신은 끊임없이 신체에 영향을 주고 받으며 신체도 정신에 끊임없이 영향을 주고받고 있기 때문임.

 

 

 

 

<연습문제>
정신건강에 대한 개념의 정의로 적합하지 않은 것은?
① 현실생활에서 언제나 독립적으로 건전하게 무엇이든 해결해 나갈 수 있어야 한다.
② 자기가 처한 발달단계에 신체적으로나 행동적으로 혹은 정서적으로 맞는 행동을 보인다면 이를 정신적으로 건강한 아동이다.
③ 정신질환이 없고 지능이 우수한 사람이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이다.
④ 사고작용과 정서작용, 지각과정과 대인관계에서 나타나는 자질의 총칭이다.

 

정신건강에 대한 학자별 관점을 설명한 것으로 바른 것은?
① 프로이트는 정신건강의 척도를 인간발달의 조직화된 체계속에서 노년기까지 통합된 부분으로 간주하여 단계별로 설명하였다.
② 매슬로우는 자아실현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을 정신적으로 건전한 성격으로 보았다.
③ 캐롤은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현실적 자아를 따라 행동하기 때문에 위장이나 허위적인 행동을 하지 않으며, 항상 있는 그대로를 경험한다고 하였다.
④ 에릭슨은 정신건강을 그가 속한 사회적 집단에 대한 태도로 보면서 4가지를 제시하였다.

 

또래 수용도에 대한 바르지 않은 것은?
① 특이하는 배척아동처럼 활동적이고 파괴적인 행동을 일삼는 하동을 말한다.
② 인기아는 성숙하고 반응적인 방식으로 또래와 의사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한다.
③ 소외아동은 또래와는 상호작용이 적고 주로 혼자 논다.
④ 아동이 또래로부터 수용되는 정도를 말한다.

 

TV와 컴퓨터가 성장기 아동의 제반 발달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아닌 것은?
① 컴퓨터의 게임이나 통신기능 등은 아동을 몰입시키는 특성이 있어 아동의 균형 잡힌 생활을 방해한다.
②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은 TV에서 사실적이고 정당화시킨 폭력을 쉽게 모방하는 등 TV와의 반복적인 경험을 거친 후 아동 중기에 와서 TV을 올바로 시청하고 이해하는 능력이 발달한다.
③ 아동의 지적·사회적 발달과 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구도 활용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TV 시청시간을 연령에 맞게 점차 늘려야 한다.
④ 컴퓨터를 자기 자신이 통제하고 조종하기 때문에 놀이의 매개자 역할을 한다.

 

 

반응형
LIST